반응형

본 글은 인프런 강의 "대세는 쿠버네티스 [초급~중급]" 를 듣고 요약 및 실습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Label

  • Pod 뿐만 아니라 모든 object에 추가할 수 있음 (pod에 가장 많이 사용됨)
  • 목적에 따라 object를 분류하고 따로 연결하기 위해서임
  • 구성은 Key와 Value이고 한 pod에 여러개의 label을 달 수 있음

  • web, db, server type인 pod들이 dev, production에 있음
  • 웹 개발자가 웹화면만 보고 싶다면 type이 web이 pod만 Service에 연결
  • 상용 환경 운영자에게는 lo:production label이 붙은 아래 pod들을 Service에 연결하여 사용
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pod-2
  labels:
    type: web
    lo: dev
spec:
  containers:
  - name: container
    image: tmkube/init

 

실습

아래에서 labels 의 type과 lo를 변경하여 6개의 pod를 띄움
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  name: pod-1
  labels:
    type: web
    lo: dev
spec:
  containers:
  - name: container
    image: tmkube/init

 

web을 위한 Service를 띄움
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  name: svc-for-web
spec:
  selector:
    type: web
  ports:
    - port: 8080

 

서비스가 만들어짐

  • selector에 따라 label이 type: web인 pod들만 연결시켜줌

production을 위한 service를 띄우면 3개의 pod가 연결된걸 확인할 수 있음
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  name: svc-for-production
spec:
  selector:
    lo: production
  ports:
    - port: 8080

반응형

'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rvice - ClusterIP, NodePort, LoadBalancer  (0) 2024.10.13
Node schedule  (0) 2024.08.04
Pod - Container  (0) 2024.08.04

+ Recent posts